강화이야기

강화산성

흰코끼리 2013. 1. 28. 17:13

 

 

 

 

 

 

 

 

 

 

 

 

 

 

 

 

 

 

강화산성 강화산성 [江華山城] [江華山城]

 

고려 성 [城] | 브리태니커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과 내가면, 하점면 일대에 걸쳐 있는 고려시대의 산성.

 

사적 제132호. 고려가 몽고의 침입으로 인해 강화도로 천도할 당시 궁궐과 함께 축조되었다. 원래 내성(內城)· 중성(中城)·외성(外城)의 3중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성이 규모있게 궁궐의 내성으로 축조된 것은 1234년(고 종 28) 1월부터였고, 당시의 성은 토석혼축(土石混築) 이었다. 그리고 이 내성을 방어하기 위한 중성이 축조된 것은 1250년(고종 37)으로, 둘레가 약 7㎞에 달하는 토 성이었다. 또 중성을 둘러싸는 외성은 1233년부터 축조 하기 시작하여 1235년에 전국 주(州)·현(縣)에서 일품군 (一品軍)을 징발하여 대대적인 공사를 벌인 결과 동쪽 육지를 바라보는 선을 따라 3만 7,070척에 달하는 성이 1237년에 일차 완성되었다.

 

고려시대의 강화 내성에는 고려 궁궐과 관청이 들어서 있 었는데, 그 규모나 배치를 모두 송도(松都 : 지금의 개성) 의 것을 옮겨놓은 듯이 비슷하게 하여 왕족과 귀족들은 송도에 서와 마찬가지로 화려한 생활을 영위했다. 궁궐의 정문은 정남 향의 승평문(昇平門)이었다. 한편 중성에는 모두 8개의 성문 이 있었는데, 송도의 것을 그대로 본떠 동에 선인문(宣仁門), 서에 선기문(宣祺門), 남에 태안문(泰安門), 북에 북창문(北 昌門)을 두었고, 동남에 장패문(長覇門), 서남에 광덕문(光德 門), 서북에 선의문(宣義門), 동북에 창희문(彰熙門)이 있었 다. 그러나 고려와 몽고의 강화가 성립되어가던 1259년(고종 46) 몽고의 요구로 내성이 헐리게 되었고, 외성도 허물었다. 그리고 고려정부가 완전히 송도로 환도하는 1270년(원종 11) 에는 궁궐도 헐리어 현재는 궁궐터마저 불완전하게 남아 있다.

 

조선시대에 들어서 1627년(인조 5)에 정묘호란이 있자 인조 가 잠시 피난했으며,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는 봉림대 군을 비롯한 빈궁(嬪宮)들과 신하들이 피난했으나 청군에 의 해 강화성이 함락되면서 포로가 되었다. 이렇게 외침이 잦자 조선정부는 이후 수차에 걸쳐 강화성을 개축하여 화강암의 석 성으로 바꾸고 여장(女墻 : 성 위에 덧쌓은 낮은 담)도 설치했 다. 이렇게 하여 강화성은 4개의 성문과 4개의 암문(暗門), 남 ·북·서쪽의 장대(將臺)와 2개의 수문(水門) 등의 시설을 갖추 었다. 현재 북악과 남산을 연결하는 지역에 남아 있는 성벽의 일부와 성문은 거의가 조선시대에 축조되어 1970년대에 보수 된 것이다. 동문은 망한루(望漢樓)인데 지금은 없어졌다. 그 리고 서문은 첨화루(瞻華樓)로 1711년(숙종 37)에 건립되어 그동안 퇴락되었다가 1977년에 개축되었다. 남문은 안파루 (晏波樓)로 1711년에 건립되었으나 1955년 홍수 때 무너진 것을 1975년에 복원한 것이다. 북문은 1783년에 건립하여 진송루(鎭松樓)라 했으나 무너져 없어진 것을 1977년에 복 원했다. 조선시대에는 성내에 많은 관아(官衙)가 들어서 있었 으나 1866년(고종 3) 병인양요 당시 많은 건물이 소실되어 현 재는 고려 궁터에 동헌(東軒)과 이방청(吏房廳) 등이 복원되 어 있을 뿐이다. 그리고 서문 근방에 일본의 강압에 의해 강화 도조약이 조인되었던

연무당(鍊武堂)터가 있다.

 

브리태니커를 인용해보았다.

강화를 다니다보면 전통문화 유적과

마주치는일은 드물지 않은일이다.

고인돌을 비롯한 많은 문화유적이 있다.

그중에서도 남문이니 동문이니 하는말은

흔히 들을수있는말이다.

그것은 서울에서 남대문 .동대문을

부르는것과 같기때문이다.

관광을 온 객지 사람이나

일상을 살고있는 강화사람이나

"강화성"은 강화의 대표적 얼굴중에

하나임은 분명할것이다.

...

이번에 다시 눈여겨보니

가장 최근에 보수한 동문 "망한루"와 남문 "안파루"는

목조로 보수한것이고 북문과 서문은 1970년대 국방유적

복원때 콘크리트골조 방식으로한것 그대로였다.

"북문"은 다른 세곳의 문들과

달리 문 천정에 그림이없었다.

있다면 "현무도"가 있었을텐데 원래 그랬는지

모르겠지만 천정에는 장대석이 차례로 누워있을뿐이다.

정면3칸 측면2칸 보수일지 복원일지 갈라진 세멘트

사이로 북문 진송루를 보면서 한편으로는 남장대를

복원하는 모습이 안스롭고 힘겹게 느껴진다.

그래도 동문 근처에 내성 일부를 복원한것은

의미가 있을것이다...

나는 가끔 지금의 문화유적을 대하는

우리의 수준을 보노라면

"과거없는 미래가 우리에게 무슨의미가 있는가"

이덕일에 말에 새삼 두려워지곤한다.

...

'강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산성3  (0) 2013.01.29
강화산성2  (0) 2013.01.28
콩세알2  (0) 2013.01.27
콩세알  (0) 2013.01.25
겨울 이야기2  (0) 2013.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