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희망 시청을 지나다가 얼마전 "기아자동차 비정규직 노동자의 고공농성"이 있었던 국가인권위원회의 전광판을 보게되었다. 많은 노동자들이 거리로 내몰리는 요즘이다. 지금은 어쩔수없이 내려왔지만 전광판에 내려다본 세상에서 그들은 좌절을 보았을까 희망을 보았을까 ... .. 역사 2016.06.14
이한열 기념관 신촌궁앞에 이런곳이 있었다니 ... 나의 무지함에 다시한번 놀랐다 ... "이한열 기념관" 우리가 꼭 기억해야할 곳이다. ... 역사 2016.06.13
샤머니즘 흔히 말하는 민속이나 무속이라는 말에는 다분히 불온한 저의?가 숨겨져있다고 생각한다. 벗들도 알다시피 그것은 기층 민중들의 생활사를 "저급"한것으로 취급하고 정악이나 클래식같은 고상한 문화를 주류로 만들면서 생긴 현상이다. 이러한 불편한 흐름을 만든것은 당.. 역사 2016.06.06
바보의 귀환 누구는 스스로를 개새끼라 울부짖었고 누구는 통음을 하며 컴컴한 밤을 깨웠고 누구는 비내리는 광장에서 불끈 주먹을 쥐었다. ... 다시 바보들이 돌아왔다. 이제는 그때의 바보가 아님을 ... @뱀다리 노무현 전대통령이 돌아가신지가 벌써 7돌이 됬다. 생뚱맞지만 나는 오늘 이런.. 역사 2016.05.23
현실과 발언 오래전 부터 문화는 현실을 반영했다. 그러므로 예술인들은 "현실을 성찰해야하며 그에 상응하는 발언"을 하는것은 어쩌면 당연할지도 모른다. ... 역사 2016.05.23
김남주 김남주 시인. 시인이기 보다는 투사를 자임했던 김남주 전사. 오래전 "학살"을 비롯한 감동적인 글을 쓴 투사다. 그런데 오늘 "얄라셩"에서 김남주님의 사랑의 무기라는 시집을 다시 읽다보니 ... "함께 가자 우리 이길을" 어! 이 노래가 김남주 시인꺼라...? ..... 역사 2016.05.16
메이데이 생각없이 사는건 죄악?이라 생각하지만 오늘은 뭘까? ... 노동자의 "뜨거운 희생"이 있었던 그날이 있었기에 내입에 고기 한점이 들어갈수있음이 ... 1886년 메이데이를 기념해서 188차 진강산 뜀박질을 61분에 마쳤다. 그리고 ... 역사 2016.05.02
김수남 85년 "터울림"에 들어가면서 나는 전통문화의 신천지?에 들어섰다. 터울림은 풍물이 단순한 전통문화의 소품이 아니었다. 민중문화를 비롯한 한국의 대중문화가 나가야할길에 대한 치열한 자기고민의 산실이었으니 ... 그러면서 80년대 굿에 대한 편견도 부서지고 어린시절.. 역사 2016.05.02